본문 바로가기
수비학

수비학이란 수와 셈을 중심으로 수학을 연구한 신비주의 학문

by 4tune 2022. 10. 4.

수비학은 수학에 신비주의가 추가된 학문으로 인간사의 흥망성쇠를 수학과 수식으로 증명하고 발견하려는 학문이다. 셈과 수식은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발견된 규칙은 다른 영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수학으로 발견된 규칙이 증명이 된다면 이것은 절대적인 규칙으로 인정되며 특별한 사건이 없다면 한 번 정해진 수학적 규칙은 변하지 않는다.

수비학이란 수와 셈을 중심으로 수학을 연구한 신비주의 학문

수학이란 학문은 간단하게 수를 셈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난이도가 올라가면서 머리가 깨지고 아픈 것이기도 하다.

옛날 사람들이 수를 셈하고 숫자를 만들고 0 을 발견하고 수학이란 학문을 탐구하면서 신비주의가 연결되었다.

숫자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해 주기도 한다.

어떤 수는 계속 더하면 1 이 나오고 어떤 수는 딱 떨어지지 않는다.

수를 물질로써 대체하면 딱 맞아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단순히 숫자로만 계산하면 정확하게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공통된 수들의 조합은 함수로써 동작하고 일정한 규칙을 가진다.

이런 숫자의 신비주의적 성향은 단순한 개념을 넘어 상징적인 의미까지 부여하게 되고 숫자를 연구하고 해석하는 학파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학문의 의미

수비학의 뜻은 영어로는 numerology 한자로는 數祕學 ( 數 셈 수, 祕 심오하여 숨겨진 비, 學 배울 학)이다.

단어에서 보듯 숫자를 단순히 셈으로써 사용한 것 이상으로 숫자를 수학이란 공식과 포뮬러 공식을 넘어 숫자와 수식의 심오한 영역까지 연구하고 탐구했다.

이런 측면에서 수비학이란 숫자라는 심오하고 숨겨진 것을 셈하고 배우는 학문을 말한다.

사칙연산을 단순히 셈을 이용하는 것 이상으로 우주만물의 규칙을 찾고 관련성을 탐구하고 연구한다.

규칙이 발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규칙이 발견된다면 반복이 성립되는 증명이란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이것은 신비주의와 연결되어 미래를 예측하고 현재의 상황을 분석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어떤 것에 대한 흥망성쇠를 셈과 수식으로 증명하는 그런 것이기도 하다.

숫자와 현실세계의 관계

수학을 단순히 셈을 위한 도구사용하면 잘 보이지 않지만 탐구영역으로 들어간다면 신기한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현실세계의 모든 것이 수학을 기초로 하고 숫자에 의한 원인과 결과가 규명되고 있는 것들이 그러하다.

뇌절하고 멀리가면 태양계의 공전과 자전 은하계의 공전 자전 등이 그렇기도 하며, 역학이나 물리 등이 그렇다.

대표적인 이집트의 피라미드가 그러하고 우리나라의 첨성대가 하나의 예이기도 하다.

이런 신비하고 명확하게 떨어지는 산술적인 수들이 오랜기간 걸쳐 발전되면서 상징적인 의미가 없었다는 것이 더 이상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런 일련의 숫자 조합이 미래를 예견한다고는 하지만 먼저 회의론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사칙연산을 구성하는 것은 오롯이 사람이고 이 단순한 사칙연산 또한 주관적인 입장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수학은 오롯이 명확하고 정확하게 나오는 학문이며 일정한 규칙의 함수가 나온다면 반복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반복적 현상이 있다면 평균이다.

어떠한 종목 또는 현상에 대한 평균을 구했다면 결과가 누적되면서 평균이상 또는 평균이하를 반복하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주기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즉, 상승과 하락을 동반하는데 이것은 경제학 뿐만 아니라 물리학이나 화학 등에도 적용되며 지금은 AI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에도 이용된다.

이런 평균치를 이용한 학문이 통계학이다.

수비학과 신비주의 학파

최대 수라는 개념이 나오고 셈을 하는 연산자가 발명되고 수식과 함수, 방정식이 나타났다.

수학이 발전되며 인간은 수식을 발견하고 물리, 화학, 역학, 지리 등의 모든 곳에서 규칙과 방정식을 발견했다.

이런 방정식은 함수로 발전되고 하나의 발견은 다른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했다.

이런 것들이 발견되며 수의 오묘한 부분들이 신비주의로 발전되고 그것이 지금의 수비학으로 발전했다.

수학을 탐구하며 고유의 학파들이 생겨났고, 숫자는 미래를 예측하는 용도로써 상징적인 의미로써도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이 타로이다.

수비학을 찾아보면 의외의 것들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규칙과 일관성이다. 이것은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하다.

모든 원인과 결과는 숫자로 표현이 되며 올라가면 떨어지고 떨어지면 올라가는 상승과 하락의 기복의 표현 또한 가능하다.

쇠퇴가 있다면 성장이 있다.

수비학이 적용된 학파들과 학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피타고라스 수비학
  • 칼데아 수비학
  • 카발라 수비학
  • 게마트리아 수비학
  • 타로 수비학
반응형

'수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로 카드 수비학 숫자 의미  (0) 2022.10.10

댓글